뇌를 자극하는 파이썬 3 - 함수로 코드 간추리기
by Yoonkh
함수로 코드 간추리기
이 단원을 시작하기에 앞서 알아둬야하는 용어!!
정의
정의(Definition)는 어떤 이름을 가진코드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는것을 말한다.
호출과 반환
모든 함수는 이름을 갖고 있다.
이 이름을 불러주면 파이썬은 그 이름 아래 정의되어 있는 코드를 실행한다.
-
함수가 자신의 코드를 실행하면 결과가 나오는데, 그 결과를 자신의 이름을 부른 코드에게 돌려준다.
-
이때 함수를 부르는 행위를 호출(Call)이라고 하고, 함수를 부르는 코드를 호출자(Caller)라고 한다.
-
함수가 호출자에게 결과를 돌려주는 것을 반환(Return)이라고 한다.
함수 정의하기
ex) 함수를 정의하는 문법
>>> def 함수이름( 매개변수 목록 ):
>>> # 코드블록
>>> return 결과
매개변수를 입력받는 여러가지 방법
매개변수는 호출자와 함수 사이의 관계를 맺어주는 변수를 뜻한다.
매개변수에 어떤 값이 들어있느냐에 따라서 함수의 동작이 달라진다
def my_abs( arg ): # arg: 매개변수
if ( arg < 0 ):
result = arg * -1
else:
result = arg
return result
기본값 매개변수와 키워드 매개변수
ex) 기본값 매개변수
>>> def print_string(text, count=1): # 매개변수를 정의 할 때 값을 할당해 놓으면 기본값 매개변수가 된다!
for i in range(count):
print(text)
>>> print_string('안녕하세요') # 호출할 때 두 번째 매개변수를 생략하면 기본값 1이 사용된다!
안녕하세요
>>> print_string('안녕하세요', 2)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ex) 키워드 매개변수
>>> def print_personel(name, position='staff', nationality='Korea'):
print('name = {0}'.format(name))
print('position = {0}'.format(position))
print('nationality = {0}'.format(nationality))
>>> print_personnel(name='윤경한') # position과 nationality는 기본값이 사용된다
name = 윤경한
position = staff
nationality = Korea
>>> print_personnel(name='윤경한', nationality='ROK') # position만이 기본값을 사용!
name = 윤경한
position = staff
nationality = ROK
>>> print_personnel(name='윤경한', position='인턴') # nationality만이 기본값을 사용!
name = 윤경한
position = 인턴
nationality = Korea
가변 매개변수
상황에 따라 매개변수의 수가 달라지는 함수는 매개변수(Arbitrary Argument List)를 이용하면 된다!
>>> def 함수이름(*매개변수): # 매개변수 앞에 *를 붙이면 해당 매개변수는 가변으로 지정된다!
코드블록
*
를 이용하여 정의된 가변 매개변수는 튜플이다!
호출자에게 반환하기!
함수가 호출자에게 값을 반환할 때에는 return문이 이용된다. return문은 대체로 다음 3가지 방법으로 사용된다!
-
return문에 결과 데이터를 담아 실행하기 => 함수가 즉시 종료되고 호출자에게 결과가 전달
-
return문에 아무 결과도 넣지 않고 실행하기 => 함수가 즉시 종료!
-
return문 생략하기 => 함수의 모든 코드가 실행되면 종료!
ex) return문에 결과 데이터를 담아 실행하기
>>> def multiply(a, b):
return a+b # return문은 함수의 실행을 종료시키고 자신에게 넘겨진 데이터를 호출자에게 전달한다!
>>> result = multiply(2, 3)
>>> resutl
6
- 한 함수 안에 return문을 여러 개 두는 것이 문법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지만, 가급적이면 return문은 함수 코드블록의 마지막에 하나만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ex) return문에 아무 결과도 넣지 않고 실행하기
>>> def ogamdo(num):
for i in range(1, num+1):
print('제 {0}의 이해'.format(i))
if i == 5:
return # 반환할 데이터 없이 실행하는 return문은 '반환'의 의미보다는 '함수종료'의 의미로 사용된다!
>>> ogamdo(3)
제 1의 이해
제 2의 이해
제 3의 이해
>>> ogamdo(5)
제 1의 이해
제 2의 이해
제 3의 이해
제 4의 이해
제 5의 이해
>>> ogamdo(8) # 8을 입력하면 for반복문은 8번 반복을 수행하려고 준비하겠지만 실행되는 return문 때문에 다섯 번 수행하면 함수가 종료되고 만다!
제 1의 이해
제 2의 이해
함수 밖의 변수, 함수 안의 변수
>>> def scope_test():
a = 1 # 함수를 정의하는 시점에서는 a가 메모리에 생성되지 않았다. 함수를 호출하면 그제서야 함수의 코드가 실행되면서 a가 메모리에 생성된다!
print('a:{0}'.format(a))
>>> a = 0 # 함수 밖에서 a를 정의하고 0으로 초기화한다!
>>> scope_test() # scope_test()가 호출되면 함수 내부에서 a를 정의하고 1로 초기화한다!
a:1
>>> print('a:{0}'.format(a)) # 하지만 함수 밖에서 정의한 a를 출력해보면 여전히 0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0
>>> def scope_test():
global a # global 키워드는 지정한 변수의 유효 범위가 전역임을 알리고, 지역 변수의 생성을 막는다. 이 a는 scope_test() 함수 안에서 전역 변수로 사용된다!
a = 1
print('a:{0}'.format(a))
>>> a = 0
>>> scope_test() # scope_test()는 0으로 초기화된 a에 접근해 1로 값을 변경한다!
a:1
>>> print('a:{0}'.format(a)) # a를 출력해보면 scope_test() 함수 안에서 변경한 값 1이 들어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a:1
자기 스스로를 호출하는 함수: 재귀 함수
재귀 함수(Recursive Function)는 자기 스스로를 호출하는 함수를 말한다! 함수가 자기 자신을 부르는 것을 재귀 호출(Recursive Call)이라고 한다!
- 함수 자신이 호출자이자 피호출자가 되는것이다
>>> def some_func(count):
if count > 0:
some_func(count-1)
print(count)
- 재귀 함수는 편리하지만 호출 비용이 크다!
컴퓨터가 더 많은 일을 하게 만들어서 성능이 떨어지는 소프트웨어를 만들게 된다. 좋은 성능이 요구되는 코드에서는 재귀 함수를 반복문으로 대체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함수를 변수에 담아 사용하기
파이썬에서는 함수를 변수에 담아 사용할 수 있다!
>>> def print_something(a):
print(a)
>>> p = print_something # ()없이 함수의 이름만을 변수에 저장한다!
>>> p(123) # 변수의 이름 뒤에 ()를 붙여 함수처럼 호출한다!
123
>>> p('abc')
abc
함수안의 함수: 중첩 함수
함수 안에 정의된 함수를 중첩함수(Nested Fuction)라고 한다. 이 중첩 함수는 자신이 소속된 함수의 매개변수에 접근 할 수 있다.
>>> import math
>>> def stddev(*args):
def mean(): # 중첩 함수 ...
return sum(args)/len(args) # ... 중첩 함수
def variance(m): # 중첩 함수 ...
total = 0
for arg in args:
total += (arg - m ) ** 2
return total/len(args)-1) # ... 중첩 함수
v = variance(mean())
return math.sqrt(v)
>>> stddev(2.3, 1.7, 1.4, 0.7, 1.9)
0.6
- mean()과 variance()는 중첩 함수의 특징을 활용하여, stddev()의 매개변수인 args에 접근해서 평균과 분산을 각각 계산한다!
모듈과 패키지
모듈(Module)은 대체적으로 ‘독자적인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를 의미한다!
- 파이썬에서는 각각의 소스파일을 일걸어 ‘모듈’이라고 한다.
두 개의 소스 파일로 만드는 하나의 프로그램 예제
ex) calculator.py
def plus(a, b):
return a+b
def minus(a, b):
return a-b
def multiply(a, b):
return a*b;
def divide(a, b):
return a/b
ex) calc_tester.py
import calculator # 불러올 모듈의 이름 calculator.py에서 '.py'는 생략한다.
print(calculator.plus(10, 5))
print(calculator.minus(10, 5)) # 모듈이름.함수()의 꼴로 clculator모듈의 함수를 호출한다.
print(calculator.multiply(10, 5))
print(calculator.divide(10, 5))
ex) 실행 결과
> calc_tester.py
15
5
50
2.0
함수들은 모두 calculator.py 모듈에 정의되어 있다. calc_tester.py 모듈에서 import문을 이용해 calculator.py 모듈을 불러들였기 때문에 이들 함수를 사용할 수 있었다.
- 모듈을 분리함으로써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mport에 대해
import를 사용하는 방법의 2가지
1.
import 모듈 # 모듈의 실제 파일 명은 "모듈.py"
2.
from 모듈 import 변수 또는 함수
모듈을 찾아서
import문을 만나면 파이썬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모듈 파일을 찾아 나선다!
-
파이썬 인터프리터 내장 모듈
-
sys.path에 정의되어 있는 디렉토리
sys.path에 정의되어 있는 디렉토리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
파이썬 모듈이 실행되고 있는 현재 디렉토리
-
PYTHONPATH 환경변수에 정의되어 있는 디렉토리
-
파이썬과 함께 설치된 기본 라이브러리
메인 모듈과 하위 모듈
“도대체 메인(main) 함수는 어디에 있는 거지?”
- 파이썬에서는 이른바’최상위 수준(Top Level)’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가 있을 뿐, 메인 함수가 따로 없다. 최상위 수준 실행은 별 다른게 아니라 명령 프롬프트 창이나 탐색기를 이용하여 파이썬 모듈을 실행하는 것이다.
파이썬에서는 “어떻게 만드느냐”가 아닌 “어떻게 실행하느냐”에 따라 메인 모듈이 결정된다.
패키지
파이썬에서는 모듈을 모아놓는 디렉토리를 패키지(Package)라고 한다. 영어로 패키지는 ‘꾸러미’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니 파이썬에서는 ‘모듈 꾸러미’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from my_package import calculator # 'from 패키지 import 모듈'의 골로 모듈을 불러온다!
print(calculator.plus(10, 5))
print(calculator.minus(10, 5))
print(calculator.multiply(10, 5))
print(calculator.divide(10, 5))
__init__.py
의 이해
패키지란, ‘__init__.py
파일을 갖고 있는 디렉토리’임을 뜻한다.
-
__init__.py
파일은 대개 비워두는 것이 보통이다. 이 파일을 손대는 경우는__all__
이라는 변수를 조정할때 정도이다. -
__all__
은 패키지로부터 반입할 모듈의 목록을 정의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site-packages
에 대해
site-packags는 파이썬의 기본 라이브러리 패키지 외에 추가적인 패키지를 설치하는 디렉토리이다.
만든 패키지나 모듈을 site-packages 디렉토리에 위치시키면 어느 경로에서든 접근해 반입할 수 있다.
Subscribe via RSS